티스토리 뷰
안녕하세요. 오늘은 콘센트나 스위치, 전등 등의 전기 배선 라인이 건물내에 어떻게 연결이 되는지
여러 사진을 보면서 예를 들어 보겠습니다.
전기기구가 연결이 되는 배관은 슬라브공사를 할때 배관을 깔아서 건물내에 배관이 되고 일반 사람들이 사용하는 스위치, 콘센트,
전등, 전화 및 TV 콘센트 등은 깔끔하게 기구만 나오게 되죠.
슬라브 공사를 할때 전기 배관된 여러 사진들을 보겠습니다.
위의 여러 사진들을 보면 계단 올라갈 자리에 계단등 박스 취부한것도 있고, 전열 통신 냉방 등 여러 배관들이 슬라브 공사할 때 배관이 되어 있습니다. 이렇게 배관을 철근 안쪽으로 하고 콩크리트를 부어주면 감쪽같이 배관들은 건물내로 사라지는 효과가 나옵니다.
따라서 건물 벽체 및 외관은 깔끔하게 되죠.
위의 사진들은 전기배관을 한 곳에 콩크리트를 부어주고 있는 모습입니다. 이렇게 건물 외부는 깔끔해도 건물 내부는 이렇게 복잡한 구조로 되어있습니다. 이런 복잡한 배관들이 건물 밖으로 나오면 보기가 안좋겠죠? 이래서 건물 내부로 배관을 하는 것입니다.
'전기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진상콘덴서의 설치 목적 및 역할 (0) | 2019.04.01 |
---|---|
실제 전등공사에서 차단기 용량 선정하기 (0) | 2019.03.05 |
캐드(CAD) 전등 도면 이해하기 (1) | 2019.02.22 |
콘센트 철거 및 교체시 안전 주의사항 (0) | 2019.02.14 |
화재감지기 종류 및 원리 (0) | 2019.02.11 |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링크
TAG
- 허용전류
- 부하전류
- 멀티테스터기
- 중성선
- 전자접촉기
- 전선굵기
- ac
- CAD도면
- 단권변압기
- 콘센트교체
- 전기요금
- 전등회로
- 캐드도면
- 전기요금절약
- 자기유지
- cpc
- 복권변압기
- 진상콘덴서
- dc
- 도통테스터기
- 전력간선공사
- 화재감지기
- 차단기용량
- ACV
- 콘센트
- 페이지CTR
- cad
- 구글애드센스
- 전압강하
- 캐드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