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기용접기를 사용할 때 드는 생각이 용접기를 사용할 때는 왜 누전이 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해본 사람들이 분명이 있을 것 같습니다. 저 역시도 그런생각을 했었습니다. 처음 용접기를 사용할 때 감전이 되지 않을까 조심조심 걱정을 하며 했던 기억이 있습니다. 그런데 이상하게도 전기용접기를 사용할 때에는 감전도 누전도 생기지 않습니다. 그 이유는 정말 간단합니다. 아래 내용을 확인해 주세요. 누전이란? 원하는 회로 외의 곳으로 전류가 흐르는 현상을 말합니다. 그렇다면 용접을 할때 용접봉을 일반철근에 대고 지지는 대도 전류가 누설이 되지 않는 이유는 용접기 내의 변압기가 복권 변압기 이기 때문입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어지는 단권 변압기는 1차측과 2차측이 연결이 되어 있지만, 복권 변압기는 1차측과 2차측이 ..

안녕하세요. 날씨가 많이 추워졌네요. 여름내내 비가 오더니 가을없이 바로 겨울로 넘어가는 느낌에 드네요. 오늘은 단권 변압기와 복권 변압기의 구조와 차이점에 대해 말씀드릴께요. 아래 내용을 참고해 주세요. 단권변압기 위의 그림이 단권변압기의 권선방법을 나타낸 것입니다. 단권변압기는 하나의 권선에 1차측과 2차측이 연결이 되어있는 구조입니다. 따라서 구조가 간단하며 가볍고 가격이 복권에 비해 저렴합니다. 그러나 1차측이나 2차측 중 한쪽에 문제가 생기면 양쪽에 문제가 생기게 되므로 1차와 2차의 전압차가 크지 않고, 부하용량이 크지않은 제품에 사용이 되어 집니다. 괜히 비용아낀다고 몇억하는 장비에 단권 변압기 설치해서 비싼 부하장비 망가지면 피눈물 나겠죠? 복권변압기 위의 그림은 복권변압기의 권선구조를 나..
- 중성선
- 차단기용량
- 캐드
- cad
- ACV
- 전력간선공사
- 도통테스터기
- 전기요금절약
- 자기유지
- 멀티테스터기
- CAD도면
- 화재감지기
- 부하전류
- 콘센트교체
- ac
- 페이지CTR
- 전기요금
- dc
- 캐드도면
- 콘센트
- 복권변압기
- 진상콘덴서
- 전압강하
- 허용전류
- 전선굵기
- 전등회로
- 단권변압기
- cpc
- 구글애드센스
- 전자접촉기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