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안녕하세요. 오늘은 전자접촉기를 이용한 램프 온,오프를 구동하기 위한 회로의 시퀀스를 이해하고, 실제 결선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을 드려볼려고 합니다. 나름대로 쉽게 설명할려고 해봤습니다만, 이해가 잘 가실지 모르겠습니다. 다만 한번에 이해가 가지 않으신다면 여러번 반복해서 보시다 보면 개념이 잡히지 않을까 생각해 봅니다.
<시퀀스 이해하기>
위의 그림의 시퀀스 흐름도를 간단하게 설명을 드리면, PB-a 를 누르면 MC-a 보조접점이 닫혀서 자기유지가 되고, MC코일에 전류가 PB-a를 누르고 있지 않아도 코일에 전류가 흐르게 됩니다. 코일에 전류가 흐르게 되면 MC의 주접점이 연결이 되어서 램프가 ON 이 됩니다. 그리고 PB-b 를 누르게 되면 코일에 전류가 차단이 되어서 램프가 OFF 가 됩니다.
<실제 결선 이해하기>
위의 두 그림은 시퀀스 결선도와 실제 결선도를 비교하면서 번호 순서대로 따라서 결선 방법을 이해하도록 그린 그림입니다. 결선순서는 제 임의대로 정한 것이므로 작업자에 따라서 변경될 수 있습니다. 전자접촉기의 결선 개념을 이해한다고 생각하고 따라 오시면 될 것 같습니다.
① 전자접촉기 주접점 1차측에 R 상을 결선합니다.
② 전자접촉기 주접점 1차측에 T 상을 결선합니다.
③ 전자접촉기 주접점 2차측의 R 상과 LAMP를 결선합니다.
④ 전자접촉기 주접점 2차측의 T 상과 LAMP를 결선하니다.
⑤ MC-a 접점과 R 상을 연결합니다. (전자접촉기 주접점 1차측에 R 상이 연결되어 있으므로 간편하게 주접점 1차측에서 R상을 따와서 MA-a 접점에 연결합니다.)
⑥ PB-a 접점과 R 상을 연결합니다. (MC-a 접점에 R 상이 연결되어 있으므로 간편하게 MC-a 에서 R상을 따와서 PB-a 접점에 연결합니다.)
⑦ MC-a 접점과 PB-a 접점을 연결합니다.
⑧ PB-a 접점과 PB-b 접점을 연결합니다.
⑨ PB-b 접점과 전자접촉기 전원측을 연결합니다.
⑩ 전자접촉기 전원과 T상을 연결합니다. (T상은 주접점 1차측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간편하게 주접점 1차측에서 T상을 따와서 전자접촉기 전원에 T상을 연결합니다.)
이렇게 결선을 완료하게 되면 PB-a 버튼을 한번만 눌러도 회로가 자기유지가 되어서 LAMP는 계속 켜지게 되고, PB-b 버튼을 누르면 LAMP는 꺼지게 됩니다.
'전기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ACB(기중차단기), VCB(진공차단기)의 사용장소 및 목적 (0) | 2021.01.28 |
---|---|
ATS와 ALTS의 특징 및 차이점 (0) | 2021.01.19 |
용접기 사용할때 누전 및 감전이 되지 않는 이유 (0) | 2020.12.14 |
역률개선용 진상콘덴서 용량 표로 간단하게 구하기 (0) | 2020.12.07 |
GMP등기구란? (0) | 2020.12.01 |
- 자기유지
- 콘센트교체
- ACV
- 콘센트
- ac
- 화재감지기
- 캐드도면
- 복권변압기
- dc
- 차단기용량
- 도통테스터기
- 전력간선공사
- 전기요금절약
- 전등회로
- 전선굵기
- 중성선
- 진상콘덴서
- 단권변압기
- 구글애드센스
- 캐드
- 페이지CTR
- 전압강하
- CAD도면
- cad
- 전기요금
- 멀티테스터기
- 부하전류
- 전자접촉기
- cpc
- 허용전류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