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UHqVz/btqzu7kGiYz/oL7A84kIGxFPHptp68dP1K/img.jpg)
안녕하세요. 오늘은 전선의 길이에 따라 발생되는 전압강하와 전압강하에 따른 전선의 굵기 선정에 대해 말씀드려볼려고 합니다. 먼저 전압강하란? 전선에 전류가 흐르게 되면 전선의 저항성분 즉 임피던스에 의해서 전원측 전압보다 부하측의 전압이 떨어지게 됩니다. 이러한 현상을 전압강하라고 합니다. 내선규정에 따르면 표준전압의 2% 이하의 전압강하률을 맞추어 주어야 합니다. 전원공급 방식에 따른 전압강하 공식 e : 전압강하[V] I : 부하전류[A] L : 전선길이[m] A : 전선 단면적[㎟] 전압강하률이 낮을수록 부하측에 안정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것입니다. 위의 공식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전압강하를 낮추어 줄수 있는 방법은 전선의 길이를 조절하거나 전선의 단면적을 조절하는 것입니다. 위의 전압강하 공식..
전기이론
2019. 11. 3. 18:12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링크
TAG
- 차단기용량
- 콘센트교체
- 캐드도면
- 전기요금절약
- ACV
- 도통테스터기
- 멀티테스터기
- 부하전류
- CAD도면
- 화재감지기
- 진상콘덴서
- 중성선
- 전력간선공사
- 허용전류
- 콘센트
- 전기요금
- 전등회로
- 캐드
- 전자접촉기
- 페이지CTR
- dc
- 복권변압기
- 단권변압기
- 구글애드센스
- cad
- 전압강하
- cpc
- ac
- 자기유지
- 전선굵기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