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안녕하세요. 여러가지 전선관 종류를 구분하는 방법으로 저는 금속제와 비금속제로 구분하여서 설명을 드릴려고 하는데요. 지난번 포스팅때에 비금속제 전선관에 대해서 포스팅을 해 드렸고, 이번 포스팅 때에는 금속제 전선관에 대해서 포스팅을 해 드리겠습니다.
◈금속제
<후강전선관>
일명 스틸전선관이라고 하며, 철로된 전선관입니다. 강제전선관이라고도 하는데 강제전선관=후강전선관, 즉 같은 의미입니다. 철로된 전선관이기 때문에 부식이 생길 수 있으므로 표면을 아연도금하고 있습니다.
이 강제 전선관은 정말 튼튼한 전선관 작업이 필요할 때 사용하며, 폭발이나 가연성이 있는 곳에서도 사용이 되며, 1본당 3.6m 로 동일하며, 규격은 아래와 같습니다.
<박강전선관>
후강전선관과 같은 스틸전선관이지만 후강전선관보다 두께가 얇아서 무게가 가볍고, 유지보수에 용이하고 빠른 시공이 요구되는 곳에서 주로사용이 되어집니다. 박강전선관 또한 한본당 길이가 3.6m 이며 규격은 아래와 같습니다.
<스테인리스 스틸전선관>
스테인리스 스틸전선관은 부식에 강한 환경이나 청결이 요구되는 현장에서 주로 사용이 되어 집니다. 후강전선관이나 박강전선관은 표면에 아연 도금이 되어 있지만 부식에 완벽한 스틸관은 아닙니다. 그러나 스테인리스 스틸전선관은 부식에 매우 강하기 때문에 수명이 훨씬 깁니다. 다만 가격이 비싸다는 단점이 있고 한 본당 3.66m 입니다. 규격은 아래와 같습니다.
<PE-라이닝 스틸전선관>
후강전선관 표면에 폴리에틸렌(PE) 를 입힌 전선관이 PE-라이닝 스틸전선관입니다. 후강전선관에 비해 부식에 상당히 강한 특징을 갖고 있으며, 두께는 후강전선관에 비해 조금 두껍습니다. 한본당 길이는 3.66m이며 규격은 아래와 같습니다.
<1종 금속제 가요전선관>
1종금속제 가요전선관은 말 그대로 금속 전선관인데 가요(可撓), 즉 마음데로 구부릴수 있는 전선관을 의미합니다. 비방수형인 SF타입이 있고, 금속제 외부에 피복을 입혀 방수기능있는 GW타입으로 나뉠 수 있습니다.
<2종 금속제 가요전선관>
2종 금속제 가요전선관도 1종과 마찬가지로 비방수형과 방수형으로 나뉘어지는데 2종은 배관 내부에 결로 방지용 종이가 있어 온도 차이가 심한 환경에서도 온도차이에 의한 결로를 방지할 수 있습니다.
'전기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멀티테스터기로 세대분전반 하트상 중성선 찾는 방법 (0) | 2020.01.12 |
---|---|
지중선로와 가공선로의 장단점 (0) | 2020.01.11 |
전선관 종류별 알기쉽게 정리(feat.비금속제) (0) | 2019.12.26 |
전기 모자분리(계량기분리)란? (0) | 2019.12.20 |
P형 화재수신기 원리 및 결선방법 (0) | 2019.12.08 |
- 전기요금
- 진상콘덴서
- 자기유지
- 전압강하
- 캐드도면
- 복권변압기
- 페이지CTR
- 캐드
- 도통테스터기
- 전자접촉기
- 화재감지기
- 콘센트
- 전선굵기
- ac
- 구글애드센스
- 콘센트교체
- 허용전류
- 차단기용량
- dc
- 전력간선공사
- cad
- ACV
- 부하전류
- 멀티테스터기
- cpc
- 중성선
- 전기요금절약
- 전등회로
- 단권변압기
- CAD도면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