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오랜만에 포스팅을 하게 되네요. 전기를 하면 할수록 느끼는 건데 모든일이 마찮가지겠지만 계속 꾸준히 생각하고 공부하고 몸으로 느끼는 방법이 최고 인것 같습니다. 일을 할때 이해하고 하는 것과 그냥하는 것은 상당한 차이가 있는것 같아요. 오늘은 캐드 전기도면에서 전열도면 보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기로 해요. 위의 그림에 나와있는 도면이 전열 도면인데요. 전열도면이라고 하면 간단히 콘센트 도면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도면만 보시면 상당히 복잡해 보이지만 의외로 간단합니다. 위의 도면에 LP-2 라도 표기된 분전반이 보이실 겁니다. 이 LP-2 에 모든 전열회선이 연결이 됩니다. 그럼 아래 그림에 분전반 결선도가 어떻게 되어있는지 볼까요. 저희는 전열도면만 보고 있으므로 위의 분전반 결선도에 전등,..
안녕하세요. 오늘은 전력간선공사에 대해 대략적인 개념에 대해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일반공장이나 건축물의 전기시공을 할때 전주(전봇대)에서 수변전실으로 전선을 연결하고, 다시 수변전실에서 각각의 분전함으로 전선을 연결합니다. 이해하기 쉽게 수변전실이라 함은 한전에서 오는 22.9KV 의 전기를 공장이나 가정에서 쓰이는 220V 나 380V로 변압하는 곳입니다. 그리고 분전함은 일반 가정집에서의 차단기가 있는 곳이라 생각하시면 됩니다. 전주에서 수변전실로 전선을 연결하는 이유는 전주에서 오는 전압 22.9KV 의 전기를 수변전실에서 220V 나 380V 변압을 하기 위함입니다. 전주에서 수변전실로 연결할 때는 CNCV 전선이 쓰입니다. 이 CNCV전선은 전주에서 22.9KV 의 전기를 수변전실로 연결해 줍니..
안녕하세요. 오늘은 전기 CAD도면에서 전력간선공사 도면을 공부해 보도록해요. 전력간선공사는 케이블이 어떠한 스케줄로 배치가 되는지에 대한 것이기 때문에 전기공사를 할때 먼저 고려해야하는 사항입니다. 일단 도면을 보고 이야기 하실까요. 참고용으로 간단한 전력간선 도면과 Cable Schedule표를 보고 도면을 어떻게 보는지 확인해 보도록 합시다. 아래 Cable Schedule표를 확대한 그림을 보고 말씀드릴께요. 1번부터 해석을 해 나가 보겠습니다. 1번은 한전에서 수배전반까지 ELP 125¢ 배관에 CN/CV 1C 60Sq 전선 3가닥이 연결된다는 뜻입니다. 2번은 수배전반에서 분전함 LP-1, LP-2 까지 54C 전선관에 F-CV 4C 16Sq 전선 1가닥과 16Sq 접지가 연결된다는 뜻입니다...
한해가 가고 벌써 2019년이 되었네요. 갈수록 시간이 어찌나 빨리 가는지 모르겠어요. 오늘은 전기 공사를 하면서 빠지지 않는 접지공사에 대해서 말씀드릴려고 해요. 접지 공사를 하기 전에 먼지 접지공사를 하는 이유에 대해 알고 넘어가야 겠죠. 간단하게 말씀드리면 접지는 누설과 서지, 이상전압 등에 의한 인체와 장비를 보호하는 역할이니, 무엇보다도 중요한 작업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안전과 관련된 일만큼 중요한 일도 없으니까요. 실제로 현장 감독자도 접지 공사가 잘 되었는지 꼼꼼히 확인하시더라고요. 자 그럼 접지 공사의 종류에 대해 알아볼까요. 접지공사는 1종접지, 2종접지, 3종접지, 특3종접지 공사가 있습니다. 위의 분전함 그림에 녹색으로 연결된 선들이 접지선들입니다. 접지선은 통상적으로 녹색을 쓰고..
안녕하세요. 오늘은 지방에 출장을 왔는데 눈이 내려서 작업이 딜레이가 됬네요. 어쩔수 없이 지방 숙소에 가치는 신세가 되었네요^^ 오늘만이 그다지 눈이 낭만적이지 않은것 같아요. 그래서 숙소에서 포스팅을 하기고 결정^^ 오늘 말씀드릴 내용은 실제 현장에서 차단기 용량 및 전선 굵기 정하는 방법에 대해 말씀드릴려고 해요. 한국전력에서 가정이나 공장 등으로 공급해주는 전력은 단상 220V, 삼상 380V가 있죠. 차단기 용량 선정과 전선 굵기 선정방법은 꾀나 어려울 것 같은데, 간단하게 한전 규정에 나와있는 표하나만 이해하면 쉽게 구할 수 있습니다. 표를 보시기 전에 기본 지식 먼저 알고 가시죠. 부하의 최대전류
안녕하세요. 전선의 종류는 정말 많이 있지만 오늘은 일반 공사나 가정집에서 콘센트나 전등 배선을 하기 위한 전선에 대해서 알아 볼께요. 집을 꾸미다 보면 전등이나 콘센트를 설치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때 가장 많이 쓰는 전선입니다. 그 전선이 바로 IV(비닐 절연전선) 입니다. 이 전선은 600V 이하의 공작물이나 전기기기의 옥내배선 용도로 사용되는 전선으로 위의 그림에서 보시다 시피 색깔 종류가 많아서 전등 라인이나 콘센트 라인을 잡을때 색분리하기가 용이합니다. 이 전선은 철사처럼 빳빳한 성질을 갖고 있어서 사람들이 건드릴일이 없는 공간이나 건물벽속 배관이나 천장에 주로 사용되는 전선입니다. 큰 공장이 아닌 일반 가정집같은 경우 전등이나 콘센트를 설치할때 필요한 IV전선 두께는 보통 2.5SQ 면 충분하기..
오늘 예기할 내용은 전선의 굵기 선정입니다. 실제로 전선의 굵기를 선정하는 것은 안전과도 직접적으로 연결이 되기 때문에 중요한 내용입니다. 따라서 전기기사 시험문제에도 꼭 출제되는 문제이기도 하죠. 현장에서 작업을 하다보면 실시간으로 전선의 굵기를 선정해서 시공해야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때 계산을 잘못하면 화재의 위험 등에 노출되기 때문에 신중하게 전선의 굵기를 선정해야 합니다. 전선의 굵기 선정시에 고려사항은 허용전류, 전압강하, 기계적강도를 고려해야 하는데요. 첫째, 허용전류는 전선의 굵기에 따라 전선에 흐를 수 있는 최대 전류를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부하가 필요한 전류량이 10 암페어 인데 전선의 허용전류는 15암페어 정도면 충분한데 100암페어가 허용되는 전선을 선정할 필요는 없습니다. 물론..
안녕하세요 전기공사업에 종사하면서 전기 관련된 지식을 나누고자 블로그를 시작한지 벌써 한달이 넘었네요. 꾸준히 할려고 하는데 지방 출장도 많고 생각보다는 쉽지는 않네요. 오늘은 일반 가정집에서나 사무실, 식당 등에서 형광등 램프나 형광등 안정기 교체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볼려고 해요. 형광등 램프는 남자분들은 대부분 잘 교체하시는데, 안정기는 햇갈려하시는 분들이 많으시더라고. 일단 쉽게 설명해 드릴테니 같이 알아보도록 해요. 아래 순서대로 따라 해보시면 쉽게 형광등 교체하실수 있습니다. 형광등의 램프가 들어오지 않거나 깜박거리신다면, 먼저 램프를 새것으로 교체해 보고 불이 들어온다면 램프가 문제가 있었던 것입니다. 램프를 교체했는데도 형광등 램프가 들어오지 않거나 깜박거린다면 안정기가 문제가 있는 것입니..
- 단권변압기
- 화재감지기
- 캐드도면
- 진상콘덴서
- 구글애드센스
- ac
- 복권변압기
- 전자접촉기
- 멀티테스터기
- 콘센트
- 중성선
- 전압강하
- 차단기용량
- dc
- cad
- 전기요금절약
- CAD도면
- 콘센트교체
- 도통테스터기
- 페이지CTR
- 캐드
- 자기유지
- 전기요금
- 전선굵기
- 부하전류
- 전등회로
- cpc
- ACV
- 허용전류
- 전력간선공사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