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오늘은 전등 배선 하는 방법에 대해 말씀드리겠습니다. 전등배선은 간단하게 생각하면 전선의 불을 밝혀줄 전원선과 전등 사이에 스위치가 들어가서 On/Off 기능을 해주게 만들어 준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위의 그림을 보고 설명을 드릴께요. 전류가 흐르는 순서를 보시면 이해가 가실 겁니다. 차단기 -> 스위치 -> 전등A 혹은 전등B -> 차단기 이 순서대로 전류가 흐르게 됩니다. 위의 그림은 2구 스위치 회로를 구성하고 있는데요. 전류가 흐르는 순서대로 설명을 드릴께요. 차단기 -> 스위치 차단기에서 빨간색 전원공통선(현장에서 부르는 명칭)이 스위치로 연결이 됩니다. 스위치 -> 전등A 혹은 전등B 스위치에서 검은색 전선이 전등A회로로 연결되고 노란색 전선이 전등B 회로로 연결이 되는 2회로 ..
안녕하세요 오늘은 누전차단기에 대해서 말씀드려 볼건데요. 지난번 포스팅때 누전차단기 용량 설정에 대서 설명을 드렸었는데 동작원리에 대해서는 제대로 설명을 안드린 것 같아서 오늘은 누전차단기 동작원리에 대해 설명을 드리겠습니다. 누전차단기에 연결된 두 전선 중 한 전선은 누전차단기에서 전류→가 나가는 전선이고 한 전선은 누전차단기 쪽으로 전류←가 들어오는 전선입니다. 각 전선에 전류가 흐르면 전선에 자기장이 흐르게 되는데 정상적인 상황일 때에는 전류가 나가는 전선과 들어오는 전선의 자기장이 서로 상쇄되어서 자기장이 소멸이 됩니다. 그러나 어떠한 이유로 누전이 발생하여 누전차단기에서 나가는 전류와 들어오는 전류가 차이가 발생이 되면 자기장이 생성이 되어서 이를 감지하여 차단기가 떨어지게 됩니다. 또한 누전차..
안녕하세요. 저는 15년 정도 담배를 피우고 지금 1년정도 금연중입니다. 그동안 수없이 금연 시도를 하고 실패를 거듭했었는데요. 지금 1년이 거의 다 되어 가는 시점에서 저의 의지도 다시한번 되새기고 많은 분들에게 저의 경험을 공유하고자 이렇게 금연 후기를 쓰게 되었네요. 많은 분들이 여러 가지 방법으로 금연을 시도하겠지만, 제가 지금까지 시도했다가 실패했던 금연 방법과 지금 현재까지 성공하고 있는 방법을 먼저 말씀드릴께요. 먼저, 그간 실패했던 방법들입니다. 처음에는 일단 그냥 끊어 보는 것입니다. 몇일 안가고 실패 했습니다. 내기를 하는 것입니다. 여러가지 내기를 해보았으나 다 실패했습니다. 마지막에는 같이 금연하는 친구랑 100만원 내기를 했는데도 피웠었습니다. 나중에는 100만원 주고 피고 말자라..
안녕하세요. 오늘은 메가테스터기에 대해서 설명해 보려고 해요. 메가테스터기를 사용하는 주요목적은 전선의 도통상태를 측정하고 저항값을 측정하여 전선의 절연상태를 파악하고 교류전압을 체크하는데 있습니다. 그럼 메가테스터기의 구조를 먼저 확인해 보시죠. 위의 그림에서 보는것과 같이 메가테스터기는 본체와 적색리드봉, 흑색리드봉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그럼 다음으로 메가테스터기 사용법을 알아볼까요. 1. 도통테스트 위의 그림과 같이 레버를 부저쪽에 놓고 적색리드봉를 BUZZER 단자에, 흑색리드봉을 COM 단자에 꼽습니다. 위의 그림에서는 테스트를 위해서 적색리드봉과 흑색리드봉을 단락을 시켜주었습니다. 도통이 된다는 것은 선이 연결이 된다라는 것이기 때문에 이렇게 하면 "삐" 하고 소리가 나게 됩니다. 실제 전선..
안녕하세요. 오늘은 단독경보용 화재 감지기에 대해 말해볼려고 합니다. 쉽게 말해서 화재경보 수신반의 설치를 하지 않아도 되어서 DC24v 전원인가가 필요없이 배터리로 동작을 하게 되는 감지기 입니다. 큰 건물이나 공장, 아파트 등에는 화재경보 수신반을 설치하여서 화재를 관리하지만, 일반 주택이나 작은 건물에 화재경보 수신반을 설치하게 되면 비용도 많이 들고 전기배선도 따로해야하는 불편함이 있기 때문에 단독형 화재 감지기를 설치를 많이 합니다. 단독경보용 화재 감지기는 주로 정온식화재 감지기와 광전식화재 감지기를 사용합니다. 정온식 화재 감지기 작동원리는 열감지방식으로 주위의 온도가 일정온도 이상(약 섭시70도) 되면 동작을하는 방식이고 설치장소는 주로 주의의 온도보다 높은 온도를 사용하는 곳인 주방, 보..
안녕하세요. 오늘은 3로스위치 원리 및 결선방법에 대해서 말씀드리겠습니다. 예를들면 계단아랫쪽에서 스위치를 켜고 계단 윗쪽으로 올라가서 스위치를 끄면 전등이 온/오프 되는 구조를 많이 보셧을 거예요. 반대로 계단 윗쪽에서 스위치를 켜고 계단 아랫쪽에서 스위치를 끄면 전등이 온/오프 되는 것도 같은 개념입니다. 이때 쓰이는 스위치가 바로 3로 스위치입니다. 3로 스위치의 원리는 간단합니다. 일반 스위치는 스위치 단독으로 동작을 하지만 3로 스위치는 스위치와 스위치가 서로 연락선이 연결이 되어서 연동하여 동작을 합니다. 위의 그림과 같이 3로 스위치 A와 B가 연락선으로 연결이 되어서 동작하도록 회로가 되어있습니다. 일반 스위치의 경우 그냥 ON/OFF 의 기능인 반면 3로 스위치는 1번으로 연결할지 3번으..
안녕하세요. 오늘은 전등공사에서 도통테스트를 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도통테스트는 보통 전등회로를 결선한 후에 한번 실수 하면 정말 큰일? 이 나는 경우, 실수를 하지 않아야 될 경우에 주로 하는데요. 예를 들어 천장 마감재가 석고보드일 경우, 석고보드가 천장에 덮여지고 나서 전등회로 결선이 잘못 된 것을 발견하게 되면 석고보드를 다시 뜯어야 되어서 경제적으로도 시간적으로도 상당한 손해를 보게됩니다. 이런경우 전등회로 도통검사를 필히 해 주는 것이 좋습니다. 도통검사는 도통테스터기로 하면 간단하게 할 수 있는데 보통 현장에서는 일명 삑삑이 라고 부릅니다. 자 그럼 한번 사진을 참고하면서 전등회로 도통검사를 같이 해 볼까요. 사진으로 예를 들을 전등회로 구성은 세대분전반->2구스위치->전등A,전..
안녕하세요. 오늘은 전기관련 일을 하는 분들이나 전기를 배우는 분들, 학생들도 필히 사용해야 하는 전기테스터기에 대해서 쉽게 설명해 드릴께요. 설명은 제가 가지고 다니는 테스터기로 설명을 드릴께요. 위의 그림이 제가 항상 휴대하고 다니는 전기테스터기인데요. 정확한 명칭은 멀티테스터기입니다. 편하게 전기테스터기라고 할께요. 그럼 하나하나 그림을 보면서 각각의 측정 단자를 알아가 보도록 할께요. 위의 그림은 설명 안해도 알겠죠? 전원 OFF 단자입니다. 위의 그림에 빨간 동그마미 부분이 직류(DC) 측정단자입니다. 직류라는 것은 베터리나 건전지 등에 흐르는 일정한 방향으로만 흐르는 전류입니다. 직류전압을 측정할 때에는 리드봉을 전압측정 양 단자에 붙여서 측정을 하는데 빨간색 리드봉이 플러스 단자에 검은색 리..
- 허용전류
- cad
- 화재감지기
- 콘센트
- 캐드도면
- 전기요금
- cpc
- 단권변압기
- 구글애드센스
- 차단기용량
- CAD도면
- 중성선
- 페이지CTR
- 멀티테스터기
- ac
- 콘센트교체
- 도통테스터기
- ACV
- 부하전류
- 전기요금절약
- 자기유지
- 복권변압기
- 전등회로
- 진상콘덴서
- 전자접촉기
- 전압강하
- dc
- 캐드
- 전선굵기
- 전력간선공사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