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안녕하세요. 오늘은 전기기구를 설치할 때 폭발로 인한 화재의 위험 요소가 있는 장소에 설치하는 방폭기구에 대해 말해 볼려고 합니다. 예를 들어 방폭등, 방폭스위치, 방폭콘센트가 전기기구에서의 방폭기기에 속합니다. 화학공장,정유공장,가스충전소,시멘트공장,밀가루공장 등의 폭발위험이 높은 장소에 방폭기기를 설치합니다. 방폭이란? 방폭이란 위험요소의 폭발을 사전에 예방하고 폭발이 일어나더라도 폭발에 의한 피해를 방지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예를들어 가스, 증기, 분진 등으로 인한 폭발위험을 방지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방폭의 구조와 종류 방폭의 구조와 종류는 다양한 것들이 있지만 이중 많이 사용되는 방법을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내압 방폭구조 -아크를 발생시키는 전기설비를 전폐용기로 감싸서 용기 내부에서 폭발이 일..

안녕하세요. 오늘은 전기공사진행을 할때 별도의 항목인 한전불입금에 대해서 포스팅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요즘은 "한전 표준 시설부담금" 이라고 많이 부르고 있는데 한전불입금과 같은 의미입니다. 한전불입금이란 신축이나 증설을 할 때, 수용가까지의 전기인입 비용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신축이나 증설을 하게 되면 수용가까지 설비가 시공이 되야되는데 이 비용을 한전에 지불하는 것입니다. 지중이냐 가공이냐 혹은 설치 거리 등에 따라 가격이 달라집니다. 아래 표를 참고해보세요. *한전표준시설부담금* 1. 기본시설부담금 2. 거리시설부담금 *1m 미만의 끝자리 수는 버림니다. *삼상으로 공급하기 위하여 기존 단상 배전선로에 첨가공사를 하는 경우에는 첨가거리시설부담금 단가를 적용합니다. 다만, 지중 배전선로인 경우에는 신..
안녕하세요. 오늘은 건물을 신축하거나 증설, 구조변경하는 경우에 받아야 하는 사용전 안전검사로 전기, 소방, 통신에 대한 안전검사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대부분의 전기시공업자의 경우 전기,소방,통신 공사를 연계하여 진행하므로 필히 알게되는 절차입니다. 전기, 소방, 통신 각각의 사용전 안전검사에 통과하였을 경우 각각에 대한 전기필증, 소방필증, 통신필증이 나오게 되며, 적합심사에서 떨어지게 되면 재심사를 받아야 합니다. 즉, 건물내에 포설된 전기, 소방, 통신 배선에 대한 안전검사를 실제 사용하기 전에 안전성 검사를 실시하는 것입니다. 이 검사를 통과해야만 준공허가를 받을 수 있습니다. 건물의 종류 및 공사형태에 따라 준공을 맞기 위해서 각각의 필증이 필요한 경우도 있고 필요하지 않은 경우도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요즘 장마가 본격적으로 시작이 되었는지 며칠사이에 계속비가 오네요. 비가 오니 현장도 쉬니 어쩔수 없이 한가해졌네요^^. 그래서 오랜만에 포스팅을 해봅니다. 초보 전기인이면 은근히 햇갈려하는 각 상에 따른 전압의 종류에 대해 포스팅을 해보려 합니다. 일반 가정집이나 상가, 공장 등에서 사용하는 저압 전압의 종류에 대해서 알아볼려고 하는데요. 단상3선식, 단상2선식. 3상4선식, 3상3선식에 대해 각각 알아보겠습니다. 그럼 아래 내용을 천천히 읽으며 이해해 보세요. 단상3선식 위 그림은 단상3선식 결선도 입니다. 요즘은 거의 대부분의 주택이나 아파트에 220V 전압을 공급 받아 사용하지만 예전 110V 와 220V를 같이 사용하던 시기에 지어진 건물에는 아직도 단상3선식의 결선을 사용을 하는 ..

안녕하세요. 오늘은 한전 저압 계량기 결선방법에 대해서 포스팅을 할려고 합니다. 3상 4선식 저압 결선방법을 포스팅할려고 하는데요. 일단 저압 대용량인 72KW 부터는 CT 계량기를 결선해야 하고 그 이하는 일반 계량기를 결선을 하면 됩니다. 부하 용량을 결정할 때 CT 계량기를 설치를 하면 설치비용이 올라가므로 잘 생각해서 결정하셔야 합니다. 일단 일반 3상 4선식 계량기 결선도 부터 보실께요. 위의 그림을 보시면 아시겠지만 한전에서부터 오는 전원부의 각 상을 1S, 2S, 3S, 0S 단자에 물려주고 부하에서 오는 각 상을 1L, 2L, 3L, 0L 단자에 물려줍니다. 여기서 실수를 많이 하는 부분이 전원부와 부하부의 순서가 반대로 되어 있어서 각 상이 섞이지 않도록 잘 보고 결선해 주셔야 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전 포스팅에서 전자접촉기의 구조 와 작동원리에 대해 포스팅을 했었는데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전자접촉기의 실제 사용 예를 들어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상가나 건물의 간판은 일정시간에 켜지고 꺼지게 세팅을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사람이 일일이 차단기를 올리거나 내리지 않아도 되기 때문인데요. 이러한 경우에 전기 용량을 많이 소비하는 간판은 일반 타이머가 부하를 견디지 못하기 때문에 전자접촉기와 같이 결선을 해주게 됩니다. 위의 그림을 보시면 상당히 복잡해 보이지만 실제로는 간단합니다. 위에서 설명 했다시피 타이머와 부하용량이 큰 간판을 바로 연결하면 타이머가 소손될 수 있기 때문에 타이머의 출력을 전자접촉기의 전원부에 연결을 해주면 타이머의 설정시간에 따라 주접점이 연결이 되어서 간판에 불이 켜..

안녕하세요. 오늘은 전자접촉기에 대해서 알아볼려고 하는데요. 전자접촉기는 M.C(Magnet Contact) 혹은 M.S(Magnet Switch) 라고도 합니다. 자, 그럼 전자접촉기의 구조와 동작 원리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전자접촉기란? 일종의 스위치 역할을 하는 것인데 전자석에 전류를 통하여 접촉자를 갖다 붙여 접점을 닫게 하는 장치로 기구적으로 릴레이(relay)와 동등하지만 릴레이 보다 전기적 용량이 큰 회로를 조작할 수 있고, 큰 용량의 전기에 견딜 수 있게 구조되어 있다. 전자석으로 제어되는 계폐기로 자동제어에도 많이 사용이 된다. 전자접촉기의 구조 및 동작원리 위의 그림은 전자접촉기의 구조 및 동작원리를 쉽게 설명하기 위해서 만들어 보았는데요. 아래 설명을 보시면서 전자접촉기에 대..

안녕하세요. 오늘은 직류와 교류의 차이점에 대해서 간략하게 말해보겠습니다. 직류는 + 극과 - 극이 분리되어 있지만 교류는 + 극과 - 극이 구분이 없이 서로 변경됩니다. 예를들어 소형 건전지는 플러스극과 마이너스 극을 구분해 주어야 하는 직류이고, 일반 가정집에서 사용하는 콘센트에서 나오는 전기는 플러스극과 마이너스극의 구분이 필요가 없는 교류입니다. 교류는 극의 표시가 필요 없지만, 주파수 Hz의 표시가 있습니다. 나라마다 조금씩 차이가 있지만 우리나라는 60Hz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60Hz라는 의미는 1초에 60번의 전압의 변화(+ 와 -가 서로 교대되는 횟수)가 있다는 뜻입니다. 직류는 저장이 가능하지만 교류는 저장을 할 수 가 없습니다. 자동차 배터리나 일반 건전지같은 저장가능한 전기는 모두 ..
- 화재감지기
- 허용전류
- 캐드도면
- 캐드
- 전등회로
- 차단기용량
- 자기유지
- 복권변압기
- 전력간선공사
- 중성선
- 전기요금절약
- 전기요금
- cad
- ac
- cpc
- 전선굵기
- 전자접촉기
- 도통테스터기
- 페이지CTR
- 단권변압기
- 콘센트
- 멀티테스터기
- 부하전류
- dc
- ACV
- CAD도면
- 전압강하
- 콘센트교체
- 진상콘덴서
- 구글애드센스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