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오늘은 멀티테스터기로 세대분전반 하트상과 중성선 찾는 방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 접지를 이용하는 방법인데요. 아주 쉬우니 아래 설명을 참고하세요. 하는 방법을 알려 드리기 앞서서 이해를 돕기 위해서 기본지식부터 알아보고 갈께요. 하트상(핫라인) = 220V 중성선(뉴트럴) = 0V 접지 : 0V 일반 가정집 세대분전반에 들어오는 전압은 220V입니다. 따라서 하트상은 220V 이고 하트상과 결합하여 전압을 만드는 역할을 하는 중성선(N상)은 이론상 0V 입니다. 또한 안전과 직결되는 역할을 하는 접지는 0V입니다. 이 접지의 전위차를 이용해서 하트상과 중성선을 찾는 것입니다. 우선 멀티테스터기를 교류전압 측정 단자에 놓습니다. 다음 세대분전반 메인의 1차측의 전압을 측정하면 220V가 나옵니다..
안녕하세요. 오늘은 지중선로와 가공선로의 차이점에 대해서 포스팅을 해 보겠습니다. 지중선로는 땅속에 매설한 전선로를 말하며, 가공선로는 공중에 설치한 전선로를 말합니다. 그럼 지중선로의 가공선로의 차이점을 비교해 보겠습니다. 구분 지중선로 가공선로 공급 능력 동일 루트에 다회선이 가능하여 도심지역에 적합 동일 루트에 4회선 이상 곤란하여 전력 공급에 한계 건설비 건설비용 고가 지중선로에 배해 저렴 건설 기간 장기간 소요 단기간 소요 외부 영향 외부 기상 여건 등에 영향을 거의 받지 않음 전력선 접촉이나 기상 조건에 따라 정전 빈도가 잦음 고장 복구 고장점 발견이 어렵고 복구가 어려움 고장점 발견과 복구가 용이 유지 보수 설비의 단순 고도화로 보수 업무가 비교적 적음 설비의 지상 노출로 보수 업무가 많은 ..
안녕하세요. 여러가지 전선관 종류를 구분하는 방법으로 저는 금속제와 비금속제로 구분하여서 설명을 드릴려고 하는데요. 지난번 포스팅때에 비금속제 전선관에 대해서 포스팅을 해 드렸고, 이번 포스팅 때에는 금속제 전선관에 대해서 포스팅을 해 드리겠습니다. ◈금속제 일명 스틸전선관이라고 하며, 철로된 전선관입니다. 강제전선관이라고도 하는데 강제전선관=후강전선관, 즉 같은 의미입니다. 철로된 전선관이기 때문에 부식이 생길 수 있으므로 표면을 아연도금하고 있습니다. 이 강제 전선관은 정말 튼튼한 전선관 작업이 필요할 때 사용하며, 폭발이나 가연성이 있는 곳에서도 사용이 되며, 1본당 3.6m 로 동일하며, 규격은 아래와 같습니다. 후강전선관과 같은 스틸전선관이지만 후강전선관보다 두께가 얇아서 무게가 가볍고, 유지보..
안녕하세요. 전기공사시 사용되는 전선관은 상황별로 여러가지가 있습니다. 경험이 많으신 분들은 상황별로 잘 선택해서 사용하시지만, 초보자 분들에게는 전선관 구분하는 것이 어려울 수 있습니다. 전선관을 상황에 맞게 잘 쓰는 것은 안전과 직결 되는 것이므로 전기기사 시험에도 많이 출제가 되고 있습니다.저는 전선관을 비금속제와 금속제로 나누어서 설명을 해드릴려고 하는데, 오늘은 비금속제 전선관에 대해 포스팅을 해 드리겠습니다. ◈비금속제일반적으로 많이 사용이되는 CD전선관이 합성수지제가요전선관입니다. 가요(可撓)라는 뜻은 '마음대로 구부릴 수 있음' 이라는 뜻으로 전선이 가는 방향으로 전선관을 자유자재로 배치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작업이 상당이 용이합니다. 무게가 가볍고, 색상종류가 다양하여 라인별로 배관을 ..
안녕하세요. 오랜만에 포스팅을하네요. 오늘은 전기 모자분리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만약에 상가건물내에 목욕탕, 음식점, PC방이 입주해 있는데 계량기가 1개 있다고 가정해 봅시다. 목욕탕, 음식점, PC방 주인이 서로 사이가 너무 좋아서 전기요금을 3분의 1로 나누어 낼 수도 있겠지만, 그럴 경우는 거의 없죠. 이럴경우 서로 전기요금에 대한 분쟁의 요소가 커지게 됩니다. 이럴때 기존에 달려 있던 계량기에서 목욕탕, 음식점, PC방으로 계량기를 분할해서 3개를 더 달아줍니다. 이러면 목욕탕, 음식점, PC방 각각의 전기 사용량이 명확하게 나오게 됩니다. 이것이 전기에서 모자분리입니다. 모자분리란? 모자분리라는 뜻을 보면 모(어미모), 자(아들자) 즉, 위의 예에서 보면 기존의 계량기가 모가 되고, 목욕탕,..
안녕하세요. 지난번 포스팅에서 P형 5회로 화재수신기의 구조 및 사용법에 대해서 포스팅 해 드렸는데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좀더 심화해서 P형 화재수신기의 원리 및 결선 방법에 대해서 설명드리겠습니다. P형 화재수신기의 원리 P형 화재수신기는 화재를 자동으로 감지하는 감지기와 사람이 수동으로 동작하는 발신기의 신호를 화재수신기가 수신하여, 주경종과, 지구경종으로 경보음을 발생하고, 표시등으로 시각경보를 발생시켜 화재의 조기통보 및 초기소화를 하도록 해주는 장치입니다. P형 화재수신기 결선방법 위의 그림에 P형 화재수신기의 결선도를 쉽게 설명하기 위해 만들어보았습니다. P형 수신기에서 가장기본이 되는 5회로 수신기에서 1개의 회로로만 사용한다고 가정하여서 그렸습니다. 건물 층수가 늘어나거나 건물 면적이 1개..
안녕하세요. 오늘은 화재 수신기 중에서 가장 기본인 P형 5회로 화재수신기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화재수신기는 어느 건물이나 공간을 구역별로 나누어서 각종 감지기를 화재 수신기에 연결하여 화재 수신기로 각 구역 어느지점에서 화재신호가 발생이 되는지를 표시램프 및 알람으로 나타내 줍니다. 화재시 빠른 초동조치를 취할 수 있습니다. P형 화재수신기는 제조사 마다 구조가 조금씩 차이는 있지는 기본원리는 거의 비슷합니다. 화재수신기 사진으로는 세부사항이 잘 보이지 않아서 나름 설명하기 쉽게 세부사항을 상세하게 위의 표로 나타내 보았습니다. 표만 보시면 어렵게 느낄 수도 있는데 아래 내용을 천천히 따라 읽으시면 이해가 가실 것이라 믿습니다. 회로1~회로5 회로1 부터 회로5 까지 나뉘어져 있는데 쉽게 말해서 화재..
안녕하세요. 날씨가 점점 추워져서 이제는 제법 쌀쌀하네요. 오늘은 3상콘센트의 사용방법 및 용도에 대해서 말씀드리겠습니다. 흔히 평상시에 말하는 콘센트의 대부분은 220V 단상 콘센트라고 보시면 됩니다. 3상 콘센트는 말그대로 220V 3상, 380V 3상 을 전원으로 사용하는 콘센트입니다. 현장에서 3상콘센트를 사용할 때에는 단상콘센트와 다르게 특정 장비에만 사용하므로 분전반에서 3상전원을 바로 따와서 단독으로 사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연결방법은 R,S,T 상의 구분없이 단상콘센트와 동일하게 각 단자에 연결만 해주면 됩니다. 아래 그림을 보시면 접지형 3상 콘센트와 무접지형 3상콘센트가 있는데 말 그대로 접지형은 접지가 있고 무접지형은 접지가 없는 타입입니다. 따라서 접지형은 4P이고, 무접지형은 3..
- 도통테스터기
- 자기유지
- CAD도면
- 멀티테스터기
- 화재감지기
- 콘센트교체
- ACV
- 복권변압기
- 전자접촉기
- 구글애드센스
- 전력간선공사
- 허용전류
- 차단기용량
- 중성선
- 전선굵기
- ac
- 부하전류
- 캐드도면
- 전기요금절약
- 캐드
- 단권변압기
- 콘센트
- 전등회로
- cad
- 전압강하
- 페이지CTR
- 진상콘덴서
- dc
- cpc
- 전기요금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