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상 생활을 할때 AC는 한쪽선만 만저도 감전이 되지만 DC는 한쪽을 만져선는 감전이 안되고 두선을 모두 만져야만 감전이 되는 경우를 발견할 수 있습니다. AC의 경우, 전등교체작업을 하다가 한선을 잘 못 만져서 감전이 되는 경우가 있으실 텐데요. DC의 경우, 예를들어 배터리에서 나오는 한선만 만져서는 감전이 되지 않고, 두 선을 동시에 만져야만 감전이 됩니다. 전류가 흐르기 위한 조건은 전류가 흐를 수 있는 통로가 있어야 흐를 수 있는 것입니다. 결론은 AC는 한선만 만저도 전류가 이동할 수 있는 통로가 형성된다는 것이고 DC는 형성이 안된다는 것입니다. 위의 그림은 주상변압기에서 AC전류가 나오는 구조를 간단하게 그린 그림입니다. 변압기 중성선은 대지에 2종접지되어서 대지에 연결이 됩니다. 따라서 ..

안녕하세요. 날씨가 많이 추워졌네요. 여름내내 비가 오더니 가을없이 바로 겨울로 넘어가는 느낌에 드네요. 오늘은 단권 변압기와 복권 변압기의 구조와 차이점에 대해 말씀드릴께요. 아래 내용을 참고해 주세요. 단권변압기 위의 그림이 단권변압기의 권선방법을 나타낸 것입니다. 단권변압기는 하나의 권선에 1차측과 2차측이 연결이 되어있는 구조입니다. 따라서 구조가 간단하며 가볍고 가격이 복권에 비해 저렴합니다. 그러나 1차측이나 2차측 중 한쪽에 문제가 생기면 양쪽에 문제가 생기게 되므로 1차와 2차의 전압차가 크지 않고, 부하용량이 크지않은 제품에 사용이 되어 집니다. 괜히 비용아낀다고 몇억하는 장비에 단권 변압기 설치해서 비싼 부하장비 망가지면 피눈물 나겠죠? 복권변압기 위의 그림은 복권변압기의 권선구조를 나..

안녕하세요. 오늘은 3상 유도전동기 결선방법에 대해 설명을 드리겠습니다.3상 유도전동기는 전원전압의 종류에 따라 다르게 결선하여야 합니다.전원전압이 3상 220V 일때는 델타 결선을 해주고, 전원전압이 3상 380V 일 때에는 와이결선을 해주어야 전동기가 이상없이 동작이 됩니다.결선하기 전에 유도전동기 스펙명판의 결선방법을 확인을 해주고, 다음 전동기의 인출선의 번호 테그를 확인을 해주어야 합니다. 결론은 스펙명판의 결선방법에 따라 인출선 번호를 확인하여 전원전압과 연결해 주면됩니다.만약 스펙명판과 인출선의 번호테그가 없는 경우에 결선하는 방법은 마지막에 설명드리겠습니다.먼저 인출선의 번호 테그가 있는 경우를 설명드리겠습니다. 3상 220V 용 결선(델타결선) 위의 그림은 모터 내부의 코일을 델타결선 했..
안녕하세요. 오늘은 실제 전기기술자분들이 현장이나 미팅에서 차단기 용량을 간단한 계산식으로 계산하는 방법을 설명해 드리려고 합니다. 차단기 선정표나 복잡한 계산없이 신속하게 차단기 용량을 구하고 거의 정확한 수치를 나타내 많은 실제 현장 전기전문가 분들이 이 방법을 사용하고 계십니다.간단한 차단기 용량 구하는 방법을 알아보기 앞서 기본지식부터 알고 가셔야 합니다.이 기본지식을 아셔야 아래 내용을 이해하기 편하실 거예요. -부하의 최대전류

안녕하세요. 오늘은 낙뢰로부터 건물내 외부의 사람 및 설비를 보호하기 위한 설비인 피뢰설비의 설치기준에 대해 간략하게 말해 보겠습니다. 피뢰설비는 낙뢰에 의한 전류를 대지로 안전하게 흘려 보냄으로써 피해를 줄일 수 있습니다. 수뢰부는 돌침, 수평도체, 메시도체로 구성이 되는데 건물의 형태에 따라 각 요소들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수뢰부의 배치는 보호각법, 회전구체법, 메쉬치수법 등을 조합하여 구성할 수 있습니다. 건축물의 보호등급은 보호등급은 I, II, III, IV의 4개 등급으로 구분하며 각각의 구분을 아래 그림 및 표를 참고하세요.

안녕하세요. 오늘은 우리나라에서 표준전압을 110V에서 220V로 변경한 이유에 대해서 설명을 할려고 합니다. 90년대 이전에 출생하신분들은 110V 용 플러그와 콘센트를 대부분 사용해보시거나 기억하실것 같고, 90년대 이후에 출생하신분들은 110V 를 우리나라에서는 사용 못해본 분들이 대대분일 것이라 생각됩니다. 우리나라는 1973년 부터 일반전압 110V를 220V로 바꾸고, 동력용 전압 220V를 380V 변경하는 작업을 시행하여 1995년에 일반가정 92%가 220V로 승압공사가 완료가 되었고, 2005년에 전국적으로 100% 220V로 승압이 완료가 되었습니다. 그럼 왜 110V에서 220V로 승압공사를 전국적으로 시행하였을까요? 그럼 110V와 220V의 장단점을 파악하여 왜 220V으로 표준..

안녕하세요. 오늘은 일상생활에서 항상 우리의 곁에 있는 전봇대의 구조에 대해서 말해 볼려고 합니다. 전봇대를 전주 라고도 하며, 전력선만 연결되어 있느면 전주, 통신선만 연결되어 있으면 통신주, 전력선과 통신선이 같이 연결이 되어 있으면 전신주 라고 합니다. 오늘은 전력선만 연결되어 있는 전주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신도시나 아파트 단지는 대부분 지중화 작업으로 전봇대를 볼수 없지만 아직까지 우리나라 전력 공급에 많은 부분을 가공선로인 전봇대가 차지하고 있습니다. 그럼 그림을 보면서 설명드릴께요. 위의 그림은 고압선로가 연결된 전봇대입니다. 가공지선 : 전봇대 최상부에 연결된 선을 가공지선이라고 하는데 낙뢰에 대비해 전력선이나 주상변압기를 보호가기 위한 일종의 피뢰침 역할을 하는 접지선입니다. 고압선..

안녕하세요. 오늘은 전기경력을 인정받을 수 있는 전기경력수첩에 대해 포스팅을 해 보겠습니다. 단순히 전기경력을 인정받는 것이 아니라 혜택 또한 있습니다. 그래서 많은 전기전공분들의 관심을 받고 있습니다. 전기경력수첩 발급의 필요성 전기공사업 면허를 내어 입찰이나 각종 공사를 하기 위해서는 3명의 전기공사기술자가 등록이 되어야 합니다. 따라서 전기경력수첩을 소유하고 있으면 전기공사업체 회사에서 선호하는 인력이 되는 것입니다. 전기공사를 하게 되면 각 전기공사의 시공관리책임자(현장대리인)가 필요하게 되는데 이 경력수첩의 소지자가 현장대리인이 되는 것입니다. 전기경력수첩 초급,중급,고급 별 시공관리 초급 : 사용전압이 1,000V 이하인 전기공사 중급 : 사용전압이 100,000V 이하인 전기공사 고급 : 모..
- ACV
- 중성선
- 페이지CTR
- 전력간선공사
- 캐드도면
- 도통테스터기
- ac
- 전기요금절약
- 콘센트교체
- 차단기용량
- 캐드
- 전자접촉기
- 허용전류
- 전압강하
- 전기요금
- 진상콘덴서
- cpc
- 멀티테스터기
- 구글애드센스
- CAD도면
- dc
- 단권변압기
- 전등회로
- 전선굵기
- 콘센트
- 자기유지
- cad
- 부하전류
- 화재감지기
- 복권변압기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